트럼프, 4월 3일부터 자동차·부품 수입 관세 25% 인상 발표 > 오토리뷰

본문 바로가기

오토리뷰

모든 광고는 무료 등록 입니다. 

트럼프, 4월 3일부터 자동차·부품 수입 관세 25% 인상 발표

페이지 정보

본문

FOX 뉴스 영상캡처



"소비자 부담 가중·생산량 감소 우려"…글로벌 공급망 혼란 예상


트럼프는 3월 26일, 오는 4월 3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자동차 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추진됐으나, 업계에서는 소비자 가격 상승과 생산 차질을 경고하며 즉각적인 반발이 일고 있다.


백악관은 이번 관세 정책이 "미국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 강조했으나, 현실적으로 미국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입차와 복잡한 글로벌 부품 공급망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특히 멕시코·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 국적 기업의 차량도 예외 없이 적용돼 업계 충격이 예상된다.


"전시차 가격↑·주가↓"…즉각적 파장 확산


관세 발표 직후 주요 자동차 제조사 주가는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소비자 신차 구매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적시 생산(Just-in-Time) 체계와 낮은 마진 구조가 관세 부과로 균열을 맞을 것"이라며 "공급망이 복잡해 조정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완성차의 경우 생산지별로 관세 적용 범위가 달라질 전망이다. 예를 들어 멕시코산 토요타 '타코마'나 캐나다산 혼다 '시빅'은 미국산 부품 비중에 따라 관세율이 차등 적용될 수 있다.


UAW "환영" vs. 무역상대국 "보복 관세 예고"


미국자동차노조(UAW) 숀 페인 위원장은 "미국 내 생산 확대로 고용이 늘어날 것"이라며 정책을 지지한 반면, EU·영국·캐나다·멕시코 등은 자국 내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검토에 나섰다. 역사적 사례로, 1960년대 도입된 경트럭 관세(25%)는 현재까지 특정 차종에만 영향을 미쳤으나, 이번 조치는 전체 산업에 걸쳐 파급효가 클 것으로 보인다.


관세 유예 가능성도…"시장 반응 주시할 것"


트럼프 정부는 지난 2020년 유사 관세를 일시 유예한 전력이 있어 향후 정책 변경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의 경우 미국산 원자재가 해외에서 가공 후 재수입되는 경우 면제 대상이 될 수 있어 실제 적용 규모는 불확실하다.

업계 전문가는 "단기적으로는 가격 변동성과 공급망 재편 압력이 불가피하다"며 "장기적 영향은 추가 정책과 국제사회의 반응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이번 조치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투자 전략과 생산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용어 설명

  • 적시 생산(JIT): 재고 비용 절감을 위해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시점에 공급하는 시스템

  • UAW: United Auto Workers, 미국 자동차 노동조합

  •  

c1b959c7fa0ad74865dbefad03b50a08_1743053080_7058.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Login

회원가입
e-업소록 더보기
이번호 신문보기 더보기

회사소개(KOR) | 광고&상담 문의
9219 Katy Fwy #291. Houston TX 77024
TEL. 713-827-0063 | E-MAIL. houstonkyocharo@gmail.com
Copyright © The Korea World News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