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한국역사에서 가장 슬펐던 연설
페이지 정보
본문
“여러분, 난 지금 여러분들과 마주 서 있으면서 몹시 부끄럽고, 가슴이 아픕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과연 내가 무엇을 했나 하고 가슴에 손을 얹고 깊이 반성합니다.” “내가 바로 여러분들을 이곳으로 오게 한 죄인입니다.
우리 땅엔, 먹고 살 것이 없어서 여러분들이 이 머나먼 타향에 와서 달러를 벌고 있습니다.” “이 외로운 시골, 끝도 없는 땅속에 들어가 석탄을 캐고, 있습니다. 간호사들은 자기의 체구보다 두 배나 큰 독일 환자들의 시중을 들다가 2년도 못돼서 허리디스크에 걸린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여러분들이 왜 이래야 합니까? 이게 다 나라가 못사는 탓입니다.
그러나 나한테 시간과 기회를 주십시오. 우리 후손만큼은 여러분들과 같이 다른 나라에 팔려오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반드시 하겠습니다.” ‘돈 좀 빌려주세요. 한국에 돈 좀 빌려주세요. 여러분들의 나라처럼 한국은 공산주의와 싸우고 있습니다. 한국이 공산주의자들과 대결하여 이기려면 분명 경제를 일으켜야 합니다. 그 돈을 꼭 갚겠습니다. 저는 거짓말 할 줄 모릅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절대로 거짓말을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을 이길 수 있도록 돈 좀 빌려주세요. 돈 좀 발려주세요.” <박정희 대통령, 서독 총리와의 면담에서>
“독일 광산에서 노역하던 한국인 아버지들, 가족을 뒤로하고 서독으로 떠나는 간호사 어머니, 여러분 만리타향에서 이렇게 상봉하게 되니 감개무량합니다. 조국을 떠나 이역만리 남의 나라 땅 밑에서 얼마나 노고가 많으십니까?
서독 정부의 초청으로 여러 나라 사람들이 이곳에 와 일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한국사람들이 제일 잘하고 있다는 칭찬을 받고 있음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박대통령은 원고를 보지 않고 즉흥연설을 하기 시작했다. “광원 여러분, 간호사 여러분, 가족이나 고향 땅 생각에 괴로움이 많을 줄로 생각되지만 개개인이 무엇 때문에 이 먼 이국에 찾아왔는가를 명심하여 조국의 명예를 걸고 열심히 일 합시다. 비록 우리가 생전에 이룩하지 못 하더라도 남들과 같은 번영의 터전 만이라도 닦아 놓읍시다. 박대통령의 연설은 계속되지 못했다. 울음소리가 점점 커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대통령이라는 신분도 잊은 채 소리 내어 울고 말았다. 육영수 여사도… 수행원도… 심지어 옆에 있던 서독 대통령까지도 눈물을 흘렸다. 결국 연설은 어느 대목에선가 완전히 중단되었고, 눈물바다가 되고 말았다. 연설이 끝나고 강당에서 나오자 미처 그곳을 들어가지 못한 광부들이 박대통령과 육영수 여사를 붙잡고 놓아주질 않았다. “우릴 두고, 어디 가세요?” “고향에 가고 싶어요.” “엄마가 보고 싶어요.” 호텔로 돌아가는 차에 올라탄 박대통령이 계속 눈물을 흘리자 옆에 있던 서독 튀르케 대통령이 손수건을 건네주며 말했다. “우리가 도와주겠습니다. 서독 국민들이 도와드리겠습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가 보낸 외환은 당시 대한민국 GNP의 2%에 달했다. 피와 땀으로 만든 경제성장의 종자 돈이었다.
*박정희: “우리도 중화학 산업을 하게 돈 좀 빌려주실 수 있습니까?” *케네디: “돈 못 주겠다. 그냥 경공업(다람쥐 가죽, 가방 등)이나 해라.” 이후 박대통령이 독일에 온 것은 돈 빌리러 왔던 것이지요? “말이 차관이지 사실은 구걸이었지요. 독일에서 대통령 경호 오토바이 다섯 대를 붙여 줬는데 참 초라해 보였어요. 그때 우리는 가엾은 대통령이었고, 가엾은 국민이었지요.
박대통령은 서독에 가서 구걸, 베트남 파병으로 포항제철, 경부선 건설 등. 산업화를 이룩했다. 독일 퀄른에 사는 파독 광부출신 유재천(73)씨는 지난 반세기 동안 사진 한 장을 소중하게 간직해 왔다. 지난달 자택을 찾은 기자에게 유씨는 낡은 사진 한 장을 꺼내 보였다. 1964년 12월10일 파독 광부들이 일하던 함브르 탄광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영수여사가 연단에 서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는 모습이다.
1964년 12월 10일 독일 튀르케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방독한 박정희 대통령 내외가 함브론 광산을 방문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 250명이 모였다. 국민의례가 끝나고 애국가가 시작되자 앞자리에 간호사들이 흐느끼기 시작했다. 대통령 내외도 손수건을 꺼내 눈가를 찍었다. 박대통령 내외는 목이 메여 애국가를 제대로 부르지를 못했다. <유재천 씨 제공>
역사는 헤아리기에 따라 달라 보이고, 평가 하기에 따라 달라지듯이, 남은 것이라곤 사람밖에 없는 나라, 인플레이션 500%라는 지옥 같은 나라. 아프리카 가나보다 못사는 나라, “세계에서 최빈국 대한민국.” 당시 한국은 자원도 돈도 없는 세계에서 가장 못사는 나라였다. 유엔에 등록된 나라 수는 120여 개국, 당시 필리핀 국민소득이 170불, 태국 220불 등. 이때 한국 국민소득은 76불이었다. 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가 바로 한국이었고, 세계 120개 나라 중에 아프리카, 가나보다 못사는 나라가 바로 우리 대한민국이었다. 사람들은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라고 부른다. 나는 나라를 위한, 필요에 의한 독재라고 생각한다.
박정희만큼 국가와 국민을 생각한 대통령은 없는 것이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산업화 없이는 민주화도 없다는 사실이다. 역사는 이를 증명하였고 지금도 확증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대한민국의 위상은 경제적 발전을 이룩한 우수한 나라로 발돋움한,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이기도 하다. 민심을 이토록 어루만져주는 지도자 박정희 대통령은 한반도 역사상 없었던 대통령이라 생각한다. 다사다난했던 2024년 대한민국의 정치권을 보면서… 어떻게 경제대국으로 만든 대한민국인데…! 2925년 새해는 새로운 꿈과 희망이 이루어지는 한 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25년 을사년 아침에>
- 이전글2025년 새 해에 드리는 간절한 기도 25.01.03
- 다음글부동산 투자 성공을 위한 5가지 황금률 25.01.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