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on College > 컬럼

본문 바로가기

컬럼

기타 Eton College

페이지 정보

본문

영국에는 최고의 명문고등학교 “이튼 칼리지”가 있다. 이 학교는 600년 전에 세워진 학교이며 지금까지 총 19명의 영국 총리를 배출했다. 이 학교는 자신만 아는 엘리트의 입학은 원하지 않는다. 교과목 중 제일 중요한 과목으로 체육을 든다. 하루에 꼭 한 번 함께 축구를 해야 하며 공휴일이면 두 번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벌금을 내야하고 벌금을 안낼 경우 몰매를 맞는다. 공부보다는 체육을 통해 “함께 하는 정신”을 강조한다. 한겨울이면 진흙탕에서 레슬링을 하기도 하는데 페어 플레이 정신을 기르기 위해서 이다. 어느 해 졸업식 송별사에서 교장 선생님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학교는 자신이 출세를 하거나 자신만이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은 원하지 않는다. 


주변을 위하고, 사회나 나라가 어려울 때 제일 먼저 선두에 설 줄 아는 사람을 원한다. 그들은 입학할 때부터 자신이 나라를 이끌어갈 사람이라는 독특한 생활을 갖고 있다. 라고 영국 BBC 방송에서 방영하기도 했다. 실제 이 학교 학생 출신들은 1.2차 세계대전에서 무려 2.000명이나 죽었다. 헨리6세의 동상 앞에 그들의 기념비가 있는데 전시 중 어떤 때에는 전교생의 70%가 참전해서 죽기도 했다. 공부를 먼저 강조하지 않는 이 학교는 놀랍게도 졸업생이 거의 대학에 진학을 한다. 그 중 1/3은 옥스퍼드나 캠브리지를 졸업했다. 


공부를 강요하지 않고 자긍심과 국가관, 특히 “사명감”을 강조하지만 그것이 학생들에게 엄청난 학습 유발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학교는 설립 당시부터 다음 교훈이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다.  

* 1. 남의 약점을 이용하지 마라. 

* 2. 비굴한 사람이 되지 마라. 

* 3. 약자를 깔보지 마라. 

* 4. 항상 상대방을 배려 하라. 

* 5. 잘난 채 하지 마라. 

* 6. 공적인 일에는 용기 있게 나서라. 


이튼 칼리지 학생들이 항상 마음에 새기고 있는 글이 있다고 한다. “약자를 위해…” 국민을 위해… “국가를 위해…” 지금까지 우리가 받아온 교육과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생각해보며, 교육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된다. 정의로운 사회, 공의로 운 인간,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서 공정성, 새삼 교육의 정체성을 새롭게 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우리 속담에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말은 수단 방법을 안 가리고 자기 목표만 이루면 된다는 비열한 속내를 드러내는 속담이다. 그러나 독일의 괴테의 말은 바른 길은 바르게 가라고 한다.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도 바르다.


노무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의 일화다. “미국의 콘돌리사 라이스(Condoleezza Rice)장관은 흑인 여성인데도 31세에 대학 총장을 역임할 정도로 천재였다. “노무현은 당당하게 의정부 장갑차 사고로 숨진 두 여중생(심미선, 신효순)의 이름을 거론한 뒤, 한국에서는 촛불 시위가 한창이라며 미군의 행동을 강하게 항의했다. “이 말을 가만히 듣고 있던 라이스 장관은 느닷없이 노대통령에게 질문했다. 


대통령님은 서해 해전에서 전사한 한국 장병들의 이름을 몇 분이나 아십니까?” “노대통령이 장병의 이름을 한 명도 대지 못하고 우물쭈물하자 라이스 장관은 다시 질문했다. 적군의 의도적 침공에 장렬하게 전사한 애국장병들의 이름은 한 명도 모르면서 혈맹의 훈련 중 실수로 사망한 여중생의 이름은 알고, 항의하는 대통령께서는 혹시 적과 아군을 반대로 잘못 알고 계시는 것은 아닌지요?” 그럼 미국의 젊은이들이 한국의 자유수호를 위해 전사한 장병이 4만 명이라는 것은 기억하십니까? 그 중에 기억하시는 이름이 있습니까? 임기 웅변에 능하고 말 잘하는 노무현을 쩔쩔매게 했던 장관이 라이스 장관이었다. “NO, 노였다” 자신 만만했던 노무현 대통령도 한마디 대꾸를 못하게 한 라이스 장관은 머리만 좋은 게 아니라, 옳은 건 옳다고, 옳지 않은 건 잘못 되었다고 당당히 지적했던 의젓한 미 국무장관이었다. 


이제는 우리 대한민국의 정치권, 국회의원들의 생각을 바꿔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크나큰 비극 중 하나는 사실무근 한 소문에 휩쓸려 부화뇌동하는 것은 결코 지성인이 아닌바, 정치인이라면 역사적 사실과 모함을 구분할 줄 아는 혜안을 갖추어야 한다. 돌고 도는 세상에서 함께 돌아가지 않는 한 두 가지의 원칙은 살아있다. 


임기웅변의 처세술보다는 영원한 진리와 지속적인 논리를 옹호하는 정치인이 되어야 한다. 옷차림이나 입맛쯤은 아침, 저녁으로 바뀌는 것은 건강을 위한 영양섭취로 그다지 대수로운 일이 아니다. 허나 뚜렷한 명분이 있음에도 불구, 정상적인 항로를 찾지 못하고 오늘은 이 길로 갔다가, 내일은 저 길로 바뀌는 등 갈피를 못 잡고 우왕좌왕하는 정치꾼들을 보면 참으로 걱정이다. 


물고기나 새조차 자기의 삶의 기본항로를 잃지 않고, 또한 죽을 때와 장소를 가릴 줄 아는데 하물며 아무리 정치판이라 하여도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이 돈 때문에 권력이라는 명예욕에 사로잡혀 사람 구실을 다하지 못 한데서야 그 아니 부끄러울 것인가… 사람에게는 사적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보다 훨씬 더 엄중한 도덕적 책무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도덕성 결여로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는다면 그것이 바로 공적 영역의 엄숙성 때문이다. 국회의원은 일반 국민들을 대변한다는 사실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Login

회원가입
이번호 신문보기 더보기

회사소개(KOR) | 광고&상담 문의
9219 Katy Fwy #291. Houston TX 77024
TEL. 713-827-0063 | E-MAIL. houstonkyocharo@gmail.com
Copyright © The Korea World News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